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하위정부모형
- 수로부인
- 다원주의이론
- 신엘리트이론
- 구하구하
- 전문가적 명예
- 관료제 유형
- 4구체 향가
- 정책모형
- 경제적 합리주의
- 원왕생가
- 신라 효소왕
- 망부가
- 엘리트이론
- 역신
- 유일한 백제가요
- 무의사결정이론
- 정책정의
- 정책의 유형
- 득오
- 월명사
- 정책이란
- 백수광부의 아내
- 광덕
- 어느 행상인의 아내
- 합리적 정책결정
- 정책의 의의
- 행정학
- 헌강왕
- 철의 삼각관계
Archives
- Today
- Total
정보지식백과
황조가 - 유리왕 본문
편편황조
자웅상의
염아지독
수기여귀
훨훨 나는 저 꾀꼬리
암수 정답게 노니는데,
외로우사 이 내 몸은
뉘와 함께 돌아갈꼬.
배경설화: 고구려 제2대 유리왕 3년 왕비 송 씨가 세상을 떠나자, 왕은 다시 화희와 치희를 계비로 맞아들였다. 두 여자는 왕의 총애를 다투어 서로 사이가 좋지 않았다. 어느 날 왕이 기산으로 사냥을 나가 이레 동안 돌아오지 않자, 두 여인 사이에 큰 싸움이 일어나 치희가 제 나라로 돌아가 버렸다. 뒤늦게 왕이 말을 달려 치희를 쫓아갔으나 치희는 노여워 돌아오지 않았다. 왕은 돌아오는 길에 마침 쌍쌍이 노니는 꾀꼬리를 보고 느낀 바 있어 이 노래를 불렀다.
주제: 임과 이별한 슬픔
의의: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서정 시가, 집단적 서사시에서 개이적 서정시로 넘어가는 단계의 가요
시상 전개 방식에 따른 대립 구조: 1,2행의 자연물인 꾀꼬리의 다정한 모습과 3,4행의 쓸쓸히 홀로 있는 화자의 모습을 대립하면서 화자의 외로움을 부각시킴
'고전시가 > 고대가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솔가 - 월명사 (0) | 2023.04.18 |
---|---|
정읍사 - 어느 행상인의 아내 (0) | 2023.03.30 |
해가 -작자 미상 (0) | 2023.03.30 |
구지가 - 구간 등 (0) | 2023.03.30 |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백수광부의 아내 (1)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