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정책의 의의
- 망부가
- 어느 행상인의 아내
- 정책모형
- 신엘리트이론
- 수로부인
- 다원주의이론
- 월명사
- 정책이란
- 관료제 유형
- 무의사결정이론
- 철의 삼각관계
- 구하구하
- 신라 효소왕
- 하위정부모형
- 정책정의
- 유일한 백제가요
- 광덕
- 행정학
- 전문가적 명예
- 헌강왕
- 득오
- 4구체 향가
- 백수광부의 아내
- 정책의 유형
- 합리적 정책결정
- 엘리트이론
- 경제적 합리주의
- 역신
- 원왕생가
- Today
- Total
목록1장 행정연구의 기초/2. 공공행정과 민간행정 (2)
정보지식백과
2.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수렴 전통적인 행정연구는 민간기업처럼 만드는 것이다. 오늘날 가장 중요한 것은 정부와 민간부문간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있다.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수렴은 두 가지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행정기관을 민간기업과 같이 운영하는 형태. 대표적으로 공기업이 있다. 정부는 민간기업의 활동에 대해 규제와 개입을 통하여 공공복지에 영향을 미치고, 공익을 활보하는 노력함 정부결정이 경제적환경에 영향을 미침 공기업 공기업은 정부소유의 기업이거나 정부가 보조하는 민간기업이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하는 사업 중 기업적 성격을 지닌 것이다. 민간기업같이 이윤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닌 민간자원에 의해 재원이 조달되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공기업은 공공복리증진을 위해 공공성과 기업성 을 조화시켜야 ..
1. 공공행정과 민간행정의 차이 현대사회에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상호작용이 증가되고 있다. 정부의 결정이 민간부문의 운영환경에 밀접하게 영향을 미치고, 정부도 민간부문의 활동을 구체적으로 규제한다. 정부는 민간부문의 생산과 서비스 활동에 있어서 가장 규모가 큰 고객이다. 공공행정과 민간행정의 차이점 1.민간은 이윤추가가 우선수위 목표가 있지만, 공공행정은 명백하고 단일 목표를 가진 조직이 없다. 민간관리의 기준은 이윤이지만 공공관리의 기준은 공익이다. 2.공공기관은 민간기업에 비해 제도나 관리상의 하부조직이 매우 다양하다. 3.민간은 기업운영 전체를 총괄하는 사람이 한사람이 운영하지만, 공공기관의 경우 모든 방법으로 권력을 분산시킨다. 중앙정부를 통해 수평적으로 또는 수직적으로 분산시킨다. 4. 민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