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월명사
- 신라 효소왕
- 4구체 향가
- 헌강왕
- 백수광부의 아내
- 득오
- 합리적 정책결정
- 정책모형
- 철의 삼각관계
- 구하구하
- 전문가적 명예
- 엘리트이론
- 유일한 백제가요
- 망부가
- 행정학
- 하위정부모형
- 광덕
- 정책정의
- 다원주의이론
- 어느 행상인의 아내
- 무의사결정이론
- 정책의 의의
- 신엘리트이론
- 원왕생가
- 관료제 유형
- 수로부인
- 경제적 합리주의
- 역신
- 정책의 유형
- 정책이란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경덕왕 (1)
정보지식백과
도솔가 - 월명사
오늘 이에 '산화'의 노래를 불러 뿌리온 꽃아, 너는 곧은 마음으로 명을 심부름하옵기에 미륵 좌주를 모셔라. 배경설화: 경덕왕때 해가 둘 나타나서 열흘동안 없어지지 않았다. 천문 관측을 맡은 관원이 아뢰기를, "인연이 있는 스님을 청하여 꽃을 뿌리며 공덕을 비는 예식을 거행하면 재앙을 물리칠 수 있습니다." 하였다. 이에 왕이 인연 있는 스님 오기를 기다렸다. 이때, 월명사가 남쪽 길을 가고 있었는데, 왕이 그를 불러 단을 열고 기도하는 글을 짓도록 명령하였다. 월명사가 를 지어 부르자 두 해의 괴변이 사라졌다. 주제: 산화공덕을 통해 국가의 변괴를 막고자 함 배경 설화에 나타난 '두 해'의 의미: '해'는 군주 또는 신을 상징하므로 두 해가 함께 나타났다는 것은 현재의 왕에 도전할 세력의 출현을 암시한..
고전시가/고대가요
2023. 4. 18. 2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