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경제적 합리주의
- 합리적 정책결정
- 헌강왕
- 행정학
- 다원주의이론
- 정책의 의의
- 유일한 백제가요
- 역신
- 4구체 향가
- 수로부인
- 원왕생가
- 하위정부모형
- 신엘리트이론
- 구하구하
- 엘리트이론
- 망부가
- 어느 행상인의 아내
- 월명사
- 관료제 유형
- 정책정의
- 신라 효소왕
- 무의사결정이론
- 정책의 유형
- 정책이란
- 득오
- 광덕
- 정책모형
- 철의 삼각관계
- 백수광부의 아내
- 전문가적 명예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공기업 설립이유 (1)
정보지식백과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수렴
2.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수렴 전통적인 행정연구는 민간기업처럼 만드는 것이다. 오늘날 가장 중요한 것은 정부와 민간부문간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있다.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수렴은 두 가지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행정기관을 민간기업과 같이 운영하는 형태. 대표적으로 공기업이 있다. 정부는 민간기업의 활동에 대해 규제와 개입을 통하여 공공복지에 영향을 미치고, 공익을 활보하는 노력함 정부결정이 경제적환경에 영향을 미침 공기업 공기업은 정부소유의 기업이거나 정부가 보조하는 민간기업이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하는 사업 중 기업적 성격을 지닌 것이다. 민간기업같이 이윤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닌 민간자원에 의해 재원이 조달되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공기업은 공공복리증진을 위해 공공성과 기업성 을 조화시켜야 ..
1장 행정연구의 기초/2. 공공행정과 민간행정
2022. 7. 15. 2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