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합리적 정책결정
- 유일한 백제가요
- 원왕생가
- 4구체 향가
- 백수광부의 아내
- 광덕
- 어느 행상인의 아내
- 신라 효소왕
- 철의 삼각관계
- 하위정부모형
- 행정학
- 무의사결정이론
- 다원주의이론
- 신엘리트이론
- 전문가적 명예
- 정책의 유형
- 관료제 유형
- 월명사
- 정책의 의의
- 헌강왕
- 정책정의
- 정책모형
- 역신
- 엘리트이론
- 득오
- 경제적 합리주의
- 구하구하
- 망부가
- 정책이란
- 수로부인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공무도하가 (1)
정보지식백과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백수광부의 아내
공무도하 공경도하 타하이사 당내공하 임이여, 물을 건너지 마오. 임은 그예 물을 건너시네. 물에 휩쓸려 돌아가시니 가신 임을 어이할꼬. 배경설화: 고조선 때 뱃사공 곽리자고가 새벽에 배를 손질하고 있었는데, 머리가 센 미친 사람(백수광부)이 머리를 풀고 술병을 낀 채 물을 건너가려 하였다. 그의 아내가 뒤따르며 만류했으나, 결국 물에 빠져 죽고 말았다. 이에 그의 아내는 노래를 지어 부른후, 자신도 남편을 따라 물에 빠져 죽었다. 이 광경을 본 곽리자고기 집으로 돌아와 아내인 여옥에게 이 이야기를 하며 그 노래를 들려주었다. 여옥이 슬퍼하며 공후를 타면서 그 노래를 부르니, 듣는 사람이 모두 슬퍼하였다. 주제: 임과 사별한 슬픔 의의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서정시가, 집단적 서사시에서 개인적 서정시로 넘..
고전시가/고대가요
2023. 3. 22. 2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