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철의 삼각관계
- 신엘리트이론
- 유일한 백제가요
- 합리적 정책결정
- 하위정부모형
- 월명사
- 관료제 유형
- 광덕
- 정책이란
- 어느 행상인의 아내
- 신라 효소왕
- 정책의 유형
- 수로부인
- 경제적 합리주의
- 득오
- 정책모형
- 다원주의이론
- 구하구하
- 원왕생가
- 4구체 향가
- 엘리트이론
- 정책의 의의
- 역신
- 무의사결정이론
- 헌강왕
- 행정학
- 백수광부의 아내
- 전문가적 명예
- 망부가
- 정책정의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역병 (1)
정보지식백과
처용가-처용
서울 밝은 달밤에 밤 늦도록 놀고 다니다가 들어와 (잠)자리를 보니 다리가 넷이로구나. 둘은 내(아내의)것이지마는 둘은 누구의 것인고, 본디 내 것이었지마는 빼앗긴 것을 어찌하리오. 배경설화: 신라 헌강왕 때에 왕이 개운포(현재의 울산)에 놀러 갔는데, 갑자기 하늘이 깜깜해져서 사방을 분간할 수 없었다. 옆에 있던 일관이 동해 용왕을 위하여 좋은 일을 하면 될 것이라고 해서 왕이 절을 지어 주겠다고 하였더니 날이 다시 밝아 졌다. 동해 용왕은 일곱 아들을 데리고 나타나 왕에게 사례하고, 한 아들(처용)에게 서라벌로 가 왕의 정치를 돕도록 하였다. 왕은 미녀를 골라 처용의 아내로 삼게 하고, 벼슬도 내렸다. 그런데, 어느 날 밤, 처용이 밖에 나갔다 돌아와 보니 아내에게 역신(천연두를 앓게 하는 귀신)이 ..
고전시가/고대가요
2023. 4. 18. 2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