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철의 삼각관계
- 4구체 향가
- 엘리트이론
- 어느 행상인의 아내
- 신엘리트이론
- 망부가
- 합리적 정책결정
- 헌강왕
- 경제적 합리주의
- 하위정부모형
- 수로부인
- 신라 효소왕
- 정책모형
- 득오
- 구하구하
- 역신
- 전문가적 명예
- 월명사
- 백수광부의 아내
- 광덕
- 행정학
- 원왕생가
- 정책정의
- 관료제 유형
- 무의사결정이론
- 다원주의이론
- 정책이란
- 정책의 유형
- 정책의 의의
- 유일한 백제가요
- Today
- Total
정보지식백과
처용가-처용 본문
서울 밝은 달밤에
밤 늦도록 놀고 다니다가
들어와 (잠)자리를 보니
다리가 넷이로구나.
둘은 내(아내의)것이지마는
둘은 누구의 것인고,
본디 내 것이었지마는
빼앗긴 것을 어찌하리오.
배경설화: 신라 헌강왕 때에 왕이 개운포(현재의 울산)에 놀러 갔는데, 갑자기 하늘이 깜깜해져서 사방을 분간할 수 없었다. 옆에 있던 일관이 동해 용왕을 위하여 좋은 일을 하면 될 것이라고 해서 왕이 절을 지어 주겠다고 하였더니 날이 다시 밝아 졌다. 동해 용왕은 일곱 아들을 데리고 나타나 왕에게 사례하고, 한 아들(처용)에게 서라벌로 가 왕의 정치를 돕도록 하였다. 왕은 미녀를 골라 처용의 아내로 삼게 하고, 벼슬도 내렸다. 그런데, 어느 날 밤, 처용이 밖에 나갔다 돌아와 보니 아내에게 역신(천연두를 앓게 하는 귀신)이 침범해 있었다. 그래서 처용이 이 노래를 부르고 물러났더니 역신이 감복하여 처용에게 사과하고, 앞으로 처용의 얼굴만 보아도 거기에는 침범하지 않갰다고 약속하였다. 그 후 사람들은 처용의 얼굴을 그려 문에다 붙여 역신의 침범을 막게 되었다.
주제:아내를 범한 역신을 물러나게 함.
전승 과정: 향가<처용가> -->고려가요 <처용가>-->조선 궁중무용<처용무>-->김춘수의 현대시<처용단장>,김소진의 현대 단편 소설 <처용단장>
배경설화에 나타난 처용과 역신에 대한 해석
처용:동해 용왕을 모시는 무당(민속학적 관점) 지방 호족의 아들(정치사적 관점) 이슬람 상인(처용탈의모습을 통한 추리)
역신:역병
의의: 신라 향가의 마지막 작품. <구지가> <해가>로 부터 이어지는 주술 시가의 맥을 잇고, 고려 가요 <처용가>의 모태가 됨. 벽사진경(사악한 귀신을 물리치고 경사를 맞아들임)의 민속에서 형성된 무기
고려 가요<처용가>에 향가 <처용가>와 똑같은 구절이 한글로 표기되어 전함으로써 향찰 해독의 단서가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