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4구체 향가
- 수로부인
- 신라 효소왕
- 월명사
- 정책모형
- 정책이란
- 어느 행상인의 아내
- 득오
- 합리적 정책결정
- 전문가적 명예
- 정책정의
- 유일한 백제가요
- 백수광부의 아내
- 망부가
- 무의사결정이론
- 하위정부모형
- 원왕생가
- 철의 삼각관계
- 헌강왕
- 엘리트이론
- 행정학
- 경제적 합리주의
- 정책의 의의
- 관료제 유형
- 신엘리트이론
- 역신
- 광덕
- 정책의 유형
- 다원주의이론
- 구하구하
Archives
- Today
- Total
정보지식백과
모죽지랑가-득오 본문
지나간 봄 돌아오지 못하나
살아 계시지 못하여 울어 말라 버릴 이 시름
전각을 밝히오신
모습이 해가 갈수록 헐어 가도다.
눈의 돌음 없이 저를
만나 보기 어찌 이루리.
낭 그리는 마음의 모습이 가는 길
다복 굴헝에 잘 밤 있으리.
배경설화: 신라 효소왕 때에 화랑 죽지랑의 남도인 득오가 죽지랑을 사모하여 지어 부른 노래가 <모죽지랑가>이다.
의의:주술성이나 종교적 색체가 없이 개인의 정회가 깃든 서정가요. 낭도의 세계를 보여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