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정책정의
- 구하구하
- 관료제 유형
- 백수광부의 아내
- 엘리트이론
- 헌강왕
- 철의 삼각관계
- 원왕생가
- 월명사
- 어느 행상인의 아내
- 신엘리트이론
- 정책의 유형
- 경제적 합리주의
- 다원주의이론
- 광덕
- 무의사결정이론
- 역신
- 4구체 향가
- 정책모형
- 수로부인
- 득오
- 유일한 백제가요
- 신라 효소왕
- 합리적 정책결정
- 정책의 의의
- 망부가
- 전문가적 명예
- 정책이란
- 하위정부모형
- 행정학
Archives
- Today
- Total
정보지식백과
서동요- 서동 본문
선화 공주님은
남몰래 정을 통해 두고
맛둥(서동)도련님을
밤에 몰래 안고 간다.
배경설화: 백제 제 30대 무왕의 이름은 장이다. 과부인 어머니와 연못의 용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어려서부터 마를 케어 생활해 '서동'이라 불리었다. 그는 신라 진평왕의 딸인 선화 공주가 아름답다는 소문을 듣고 몰래 경주로 들어가서 <서동요>를 지어 아이들로 하여금 부르게 하였다. 노래가 경주에 널리 퍼져 대궐까지 전해지자 진평왕은 공주를 귀양 보낼 수밖에 없었다. 그러자 미리 기다리고 있던 서동이 선화 공주를 맞아 동행하였고, 결국 그녀를 아내로 맞이하였다. 서동은 공주를 통해 자신이 마를 케던 뒷산에 있는 큰 금무더기가 보배라는 것을 알고, 그 금으로 인심을 얻어 뒷날 백제의 왕이 되었다.
주제:선화공주의 은밀한 사랑. 선화공주에 대한 연모의 정
표현: 서동이 자신의 소망을 선화 공주가 실제 행한 것 처럼 표현함(주객전도)
특징: 참요(예언하는 노래)/(참소하는 노래)
의의: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향가. 민요가 4구체 향가로 정착한 노래. 향가중 유일한 동요
'고전시가 > 고대가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용가-처용 (0) | 2023.04.18 |
---|---|
모죽지랑가-득오 (2) | 2023.04.18 |
헌화가- 어느 노인 (0) | 2023.04.18 |
도솔가 - 월명사 (0) | 2023.04.18 |
정읍사 - 어느 행상인의 아내 (0) | 2023.03.30 |